쿠바

시장과 사회주의...까마구에이

하피즈 2012. 6. 17. 03:03

.

.

.

[ 쿠바, 시장과 사회주의...까마구에이 ]

.

.

.

자본주의의 꽃은 시장이다.

반면 사회주의 시장은 독버섯일까?

원칙적으로 말한다면 

완고한 사회주의 국가에서

시장은 존재할 수 없다.

아니 존재해서는 안되는 당위의 문제.

상품의 가치는 시장이 아니라

정부가 결정하기 때문에...

.

.

.

.

.

.

쿠바 내륙도시 

까마구에이Camaguey

산티아고 데 쿠바에서 

아바나로 북상하려면 

반드시 들려야 하는, 

쿠바에서 3번째로 큰 도시다.

.

.

.

.

.

.

까마구에이는 

16세기 초반 디에고 벨라스케스가

이 곳에 도착해

(서구에서는 발견이란 용어를 쓰고

있지만 이는 서구인의 오만한 시각일 뿐...)

일곱 개의 언덕이 둘러 싼 이곳에 

도시를 세웠다.

 .

.

.

.

.

.

도시는 처음부터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렸다.

사람들은 빗물을 받아 식수로 사용했는데

빗물을 받는데 사용했던 항아리가 바로

사진에서 보는 티나호네스Tinajones다.

가끔 미국 가수이름으로 착각해 '티나존스'라고 

하는 사람도 잇다...

이 티나호네스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 

흙항아리를 본딴 것.

.

.

.

.

.

.

어쨌든 이 티나호네스는 

까마구에이의 상징이다.

구시대의 유물이 되어

도시의 여기저기를 굴러다니고 있지만...

.

.

.

.

.

.

도시의 퇴물은 티나호네스 뿐은 아니다.

19세기 중반 스페인 인이 건설한 철도와

역사도 세월과 함께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철도역 오래된 사무실은 

동네 노인들의 쉼터가 되었다.

그들은 과거를 회상하며

향수에 젖겠지만

.

.

.

.

.

.

시간은 5시 45분에

멈춰서있고

.

.

.

 

.

.

.

타이프 라이터도

더 이상 아무말도 하지 않는다.

.

.

.

 

.

.

.

거기엔 침묵이 고여 있었다.

.

.

.

.

.

.

간혹 화물열차를 운행하는 

역무원들 덕분에

까마구에이역은 겨우 온기를 유지한다

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
.

.

.

역의 남쪽으로 내려가면

본격적인 까마구에이 도심이다.

 .

.

.

.

.

.

역사 풍경과는 달리

도시는 상당히 활기찬 편이다.

.

.

.

.

.

.

미로와 같은 도시를 걷다보면

길을 잃기 쉽다.

그런 혼란스러움이

이 도시의 매력이라고도 말한다.

.

.

.

Catedral de nuestra senora de la candelaria 

신 고전주의적 양식의 파사드와 그리스 양식의 건축물들은 다른 라틴 아메리카의 도시들과 구별된다.

.

.

.

사탕수수와 목축으로 

부를 축적한 이 도시를

그 유명한 카리브해의 해적들이

이 도시를 탐냈다고 하는데...

바다에서 50km나 떨어진 내륙인데다

도시가 미로처럼 복잡해

도시를 방어하는데 매우 유리했다.

.

.

.

.

.

.

가끔 고려대와 신촌을 오가는 버스도 만날 수 있고 ^^

.

.

.

.

.

.

무언가 조사 중인 

쿠바 여인들을 만날 수도 있다.

.

.

.

.

.

.

가방을 수선하는 노인, 젊은이는 그의  아들겸 조수인 듯하다.

.

.

.

멕시코에서 산 작은 배낭이

찢어지는 바람에

노인에게 수선을 맡겼다.

수선비는 10모네다...약 400원

.

.

.

국영 상점인 보데가

 .

.

.

사실 이 도시에서 가장 인상 깊은 것은

다른 쿠바 도시와는 다른 활기찬

상업적 풍경이다.

중심가로 가면 제법 다양한 구색을 갖춘

대형 전자제품 매장과 백화점도 있다.

 .

.

.

바라코아의 야채상

.

.

.

민간인이 물건을 사고 파는 가게들은 

아주 영세하고 규모도 작은 편이다.

경제 용어를 빌리자면 

'자본의 본원적 축적'이 형성되기 전 단계라고 볼 수 있다.

서구 자본주의는 본원적 자본 축적을 통해

산업혁명을 거쳐 현재의 자본주의적 경제 토대를 

갖추게 된 것.

.

.

.


Mercado agropecuario El rio

.

.

.

엘 이오 시장은 쿠바에서는 보기 드물게

민간이 중심이 된 재래시장이다.

물론 아바나에도 상당히 현대적인

상업지구가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

역시 정부나 외국 자본(중국 등)이 주도한

시장이다. (자연발생적 시장이 아니라는 뜻)  

.

.

.

.

.

.

론니 플래닛에서는

쿠바에서 단 하나의 시장을 봐야한다면

바로 이 까마구에이 시장을 추천한다.

.

.

.

.

.

.

주로 인근 농가에서 생산된 

잉여 농수산물이 거래된다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.

점포는 대략 100여개 정도...

품목에 따라 구역이 나누어져 잇다.

제 철이 아니라 거래되는 상품의 종류는 그리 많지 않앗다.

.

.

.


.

.

.

가장 활기찬 곳은 

육류를 거래하는 점포다.

.

.

.

.

.

.

사람들이 줄을 길게 서서 

차례를 기다린다.

간혹 고성이 오가기도 하고...

아마도 더 좋은 품질의 고기를 

더 싼값에 사기위한 경쟁이 아닐까?

.

.

.


.

.

.

인간의 본원적 욕망을 무시 

아니 경시한 댓가...

사회주의 실패의 근본적 원인을

학자들은 이렇게 말한다. 

.

.

.

.

.

.

우리에겐 얼마나 많은 고기와 돈이 필요할까?

사람들은 그다지 착하지 않아...

자신의 이익 앞에서는...

.

.

.

.

.

.

냉정하게 말하면

내 이익에 큰 피해가 없을 때만

착한 척 할 뿐이지...

욕망에 이익에 자유로운 

사람을 그다지 많이 볼 수 없었다고 

나는 고백한다.

채워도 채워도 

만족되지 않는 인간의 허기는 

무엇으로 채워야 할까?

.

.

.

.

.

.

체가 말한 윤리적 사회주의 인간형은 

단순한 이상에 불과한지...

나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

그리고 포기할 수없는 의문을 갖고

쿠바를 여행한다.

.

.

.

.

.

.

"오늘의 돼지는 

내일의 돼지 고기다."

1968년 파리의 함성을 기억하며...

배 고픈 돼지처럼 살 것인가?

배부른 돼지로 살 것인가?

.

.

.


.

.

.

.

.

.

그리고 오늘도 쿠바노들은

좀더 값싸며 큰 피자를 사기위해 

긴 줄을 선다.

맛 따위는 그들에겐 호사다.

.

.

.